소상공인 빚 탐감 기준 시청>
자발적 퇴사 조건 살펴보기>
직장을 그만두게 되면 당장 수입이 끊겨 막막할 수 있지만, 실업급여는 새로운 출발을 위한 든든한 지원군입니다. 특히 '자발적 퇴사'의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예외 사유가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 실업급여의 핵심 내용과 신청 방법을 명쾌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1. 2025년 실업급여 지급액, 최대 198만 원의 비밀
2025년 실업급여는 **퇴직 전 3개월간 1일 평균 임금의 60%**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여기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월 최대 198만 원은 1일 상한액 66,000원에 한 달(30일)을 곱한 금액입니다.
반대로 1일 하한액은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64,192원으로 정해져 있어, 임금이 적더라도 최소한의 생활비는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2. 자발적 퇴사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
실업급여는 비자발적 퇴사가 원칙이지만, 예외적으로 **고용보험법에서 정한 '정당한 이직 사유'**에 해당하면 자발적 퇴사라도 수급이 가능합니다.
임금 체불, 직장 내 괴롭힘, 장거리 출퇴근(3시간 이상) 등 다양한 사유가 여기에 포함됩니다. 중요한 것은 퇴사 전에 이러한 사유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미리 준비하는 것입니다.
3. 핵심 총정리: 지급 기간 및 신청 방법
실업급여 지급 기간은 고용보험 가입 기간과 연령에 따라 최소 120일에서 최대 270일까지 달라집니다. 신청 절차는 간단합니다. 먼저 회사에 이직확인서와 고용보험 상실신고서 제출을 요청하고, 고용노동부 워크넷에서 구직 등록을 합니다.
이후 온라인 또는 고용센터 방문을 통해 수급자격을 신청하고, 온라인 교육을 수료한 뒤 14일 내에 고용센터를 방문하여 실업 인정을 받으면 됩니다.
자주 하는 질문 (Q&A)
-
Q. 퇴사 후 언제까지 신청해야 하나요? A. 퇴사 다음 날로부터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기간이 지나면 수급 자격이 사라집니다.
-
Q. 180일 근무 기간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A. 고용보험에 가입된 **'유급 일수'**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주휴수당을 받은 날도 포함되며, 정확한 일수는 고용보험 가입 이력 내역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